[팩토리오: 우주 시대] 불시착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까지 열심히 지도를 만들었으니 이번 시간부터는 본격적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가... 어디오?
아무래도 주인공은 영 좋지 않은 행성에 불시착한 모양입니다.

그렇답니다.
기본적인 조작 방법은 매우매우매우매우 많으니 세부적인 것은 설정-조작 화면을 참조하고 자주 쓰이는 것을 살펴보면
조작 | |
W | 위로 이동 |
A | 좌로 이동 |
S | 아래로 이동 |
D | 우로 이동 |
마우스 좌클릭 | 마우스가 가리키는 대상이랑 상호 작용 건축 가능한 아이템을 들고 좌클릭할 경우 아이템 배치 |
Shift+마우스 좌클릭 | 건축 가능한 아이템을 들고 좌클릭할 경우 고스트 상태로 아이템 배치 |
마우스 우클릭 | 마우스가 가리키는 대상 철거 |
E | 인벤토리 열기 |
Q | 빠른 선택/선택 취소 |
R | 마우스가 가리키는 대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 |
V | 마우스가 가리키는 대상 수직 방향으로 회전 |
H | 마우스가 가리키는 대상 수평 방향으로 회전 |
F | 플레이어 주변의 떨어진 아이템 습득 |
Z | 마우스가 가리키는 지점으로 아이템 내려놓기 |
스페이스 바 | 무기 발사 |
C | 무기 변경 |
M | 원격 보기 화면 전환 |
T | 연구 예약 화면 전환 |
Ctrl+Z | 마지막으로 실행했던 행동 취소 |
Ctrl+Y | 취소한 행동을 다시 실행 |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조작 방법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주변을 살펴보기 전에 망가진 우주선 및 잔해를 살펴보면 화기용 탄창 및 철판 등의 재료 아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깔끔하게 챙겨주도록 합시다.
팩토리오가 자동화에 초점을 맞춘 게임이지만 여러분은 아직 자동화를 하기 위한 아이템이 없습니다!
그러니 지금은 손으로 열심히 재료 아이템을 채광하도록 합시다.

주변을 탐색하면 근처에 최소 하나의 철 광석 매장지를 볼 수 있습니다.
푸른색 계열을 띄고 있으며, 광석을 향해 우클릭할 경우 플레이어가 직접 채광할 수 있습니다.

친절하게도 광석 매장지에 마우스를 얹으면 해당 타일의 매장량 및 채취 가능한 방법을 표시합니다.

또한 원격 보기 화면에서 매장지에 마우스를 얹을 경우 해당 매장지의 전체 매장량을 표시합니다.
이 외에도 주변을 살펴보면 다양한 매장지를 볼 수 있습니다.
나우비스의 자원 매장지 | ||
철 | ![]() |
푸른색 계열을 띄며, 왠만한 구조물은 전부 철 판을 요구할 정도로 수요량이 굉장히 높습니다. |
구리 | ![]() |
주황색 계열을 띄며, 철 판과 마찬가지로 수요량이 굉장히 높습니다. 회로 아이템을 본격적으로 양산하기 시작하면 소모량이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
돌 | ![]() |
황토색 계열을 띄며, 벽이나 돌 용광로, 철도 등을 건설할 때 사용되며, 제련하여 벽돌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
석탄 | ![]() |
검정색 계열을 띄며, 화력 연료로 사용되며, 수류탄이나 플라스틱 등 제작에 필요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
우라늄 | ![]() |
녹색 계열을 띄며, 특이하게 채광 시 황산을 요구하여 전기 채광 드릴 이상이 필요합니다. 주로 원심분리 후 나오는 우라늄을 이용하여 원자로를 가동하는데 사용됩니다. |
석유 | ![]() |
검정색 간헐천 모습으로 등장하며, 미니맵에서는 보라색으로 표시됩니다. 원유 채취시 시추기가 필요하며, 정유 공장에서 원유 처리 후 중유, 경유, 석유 가스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철의 요구 수량은 매우매우매우 많이 필요하나 손으로 캐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화력 채광 드릴입니다.
화력 채광 드릴은 철 톱니바퀴와 철 판, 돌 용광로로 제작할 수 있으나, 게임 시작 시 플레이어에게 하나를 공짜로 제공하니 바로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연료가 없습니다.
화력 채광 드릴답게 나무나 석탄 같은 화력 연료가 필요합니다.

근처를 살펴보면 근처에 최소 하나의 석탄 매장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검정색 계열을 띄고 있으며, 연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화력 채광 드릴에 연료를 넣으면 드디어 채광을 시작합니다.
이렇게 채광한 광석을 출력부에 떨어뜨립니다.
다만 하나를 채광하고 나면 아이템을 회수하기 전까지 채광을 안하네요.

이럴 때는 출력부에 상자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저장 및 이송하면 됩니다.
초반에는 저렴한 나무 상자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출력부의 방향은 'R'키를 눌러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H' 키로 수평 방향으로 뒤집거나 'V' 키로 수직 방향으로 뒤집을 수 있습니다.
이미 건설된 개체도 해당 키를 이용하여 방향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약간 응용하면 화력 채광 드릴끼리 방향을 서로 맞대면 서로 석탄을 공급하는 무한동력을 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응용하면 투입기와 돌 용광로를 붙여서 채굴 즉시 제련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철 광석이나 구리 광석은 돌 용광로를 이용하여 철 판이나 구리 판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돌 용광로는 돌 5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돌은 주변의 바위를 채광하거나 돌 매장지에서 채광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화력 투입기를 볼 수 있는데 화력 투입기는 철 기어 1개와 철 판 1개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화력 투입기 배치 시 방향이 있는데 '│' 표시가 된 지점에서 아이템을 집은 후 '▶' 표시된 지점으로 아이템을 내려놓습니다.
방향은 동일하게 'R'키를 눌러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H' 키로 수평 방향으로 뒤집거나 'V' 키로 수직 방향으로 뒤집을 수 있습니다.
친절하게도 화력 투입기의 연료가 부족할 경우 투입 지점에 연료가 있을 경우 스스로 집어서 연료를 보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이템을 집은 후 초당 회전 속도는 281˚이며, 목재 1개를 연료로 공급할 경우 28개의 아이템을 옮길 수 있고, 석탄 1개를 연료로 공급할 경우 약 57개의 아이템을 옮길 수 있습니다.

만약 목표 지점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운송 벨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송 벨트는 철 톱니바퀴와 철 판으로 2개씩 제작할 수 있습니다.
운송 벨트에 아이템을 둘 경우 방향대로 아이템이 흘러갑니다.

운송 벨트 하나에는 2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벨트에 여러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습니다.

화력 투입기 및 운송 벨트를 적절하게 배치할 경우 이런 식으로 화력 테크에서도 자동화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화력 테크에서는 연료 자동화가 어렵고 비효율적이니 다음 시간에는 조금 더 편리하게 자동화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