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계식 화력 장치를 넘어선 발전기 제작 및 전기 기구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실에서는 발전을 어떻게 할까요?

바로 물을 끓여서 터빈을 돌리는 것입니다.

심지어 원자력 발전소 원리도 핵분열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물을 끓인 후 터빈을 돌립니다.

 

이 또한 팩토리오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여서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을 퍼올려야 합니다.

펌프는 철 톱니바퀴 3개와 파이프 2개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톱니바퀴와 파이프 모두 철 판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습니다.

 

아, 시작하기 전에 선행 조건으로 철 판을 50개 제작해야 해안 펌프, 보일러, 터빈, 파이프, 지하 파이프가 해금됩니다.

그러니 이 글을 보기 전에 철 광석을 열심히 제련하도록 합시다.

 

해안 펌프는 위와 같이 해안선을 따라 설치하면 자동으로 물을 퍼올립니다.

액체를 공급하는데 따로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1200/초의 액체를 퍼올립니다.

 

만약 해안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액체를 공급하고 싶을 경우 파이프를 이용하면 됩니다.

파이프를 쭈욱 이으면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며, 한 번에 최대 320칸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파이프는 물 뿐만 아니라 추후에 다룰 다른 액체류도 이송할 수 있습니다.

 

만약 파이프가 통행에 방해되어서 숨기고 싶을 경우 지하 파이프를 사용하면 됩니다.

지하 파이프는 최대 9칸 거리를 벌린 상태로 마주보게 이을 수 있습니다.

 

이제 물을 퍼올렸으니 물을 끓일 차례입니다.

물을 끓이기 위해서는 보일러가 필요하며, 제작에 돌 용광로와 파이프 4개가 필요합니다.

보일러는 물 표시가 된 양 옆으로 파이프를 이어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증기 표시된 곳으로 증기가 배출됩니다.

증기 또한 파이프를 이용하여 운송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배치한다고 물은 조상님이 끓여주시지 않습니다.

물을 끓이기 위해서는 화력 연료가 필요합니다.

초반에 사용할 만한 연료로는 목재나 석탄을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또한 보일러끼리 물 투입구를 마주보게 병렬로 설치하면 모든 보일러에 물 공급을 할 수 있습니다.

터빈은 연료를 공급하면 초당 물을 6 소비하여 165℃의 증기를 60 생산합니다.

 

이제 물을 끓였으니 터빈을 돌릴 차례입니다.

터빈은 제작에 철 판 10개와 철 톱니바퀴 8개, 철 파이프 5개가 필요합니다.

양 옆으로 파이프를 이어서 증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초당 65℃의 증기를 30 소모하여 최대 900kw의 전력을 생산합니다.

다행해도 항시 최대 출력인 900kw로 생산하지 않으며, 딱 필요한 만큼만 전력을 생산하여 증기 및 연료를 효율적으로 소모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런데 올바르게 파이프를 연결한 것 같은데 경고 표시가 뜹니다.

이럴 경우 해당 물체에 마우스를 얹을 경우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확인하면 '전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이라는 정보가 나옵니다.

발전기나 전력을 소모하는 물체의 경우 전신주 같은 송전을 할 수 있는 물체랑 연결해야 합니다.

그러니 바로 전신주를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소형 전신주는 목재 1개와 구리 전선 2개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구리 전선은 구리 판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소형 전신주는 주변 5×5 범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제작법에 소형 전신주가 없을 경우 구리 판 10개를 제작할 경우 구리 전선, 전자 회로, 연구소, 투입기와 함께 해금됩니다.

 

또한 소형 전신주끼리 7.5칸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자동으로 전선이 이어집니다.

친절하게도 다수의 전신주를 들고 있는 상태로 드래그를 할 경우 자동으로 최대 연장 길이로 전신주가 이어집니다.

 

이런 식으로 터빈에 전신주까지 두르면 훌륭한 발전소가 완성됩니다.

마침 보일러의 증기 생산량이 초당 60이고, 터빈의 증기 소모량이 초당 30이니 보일러 1개당 터빈 2개씩 연결하면 최대 부하 시 정확하게 생산과 소모량이 일치합니다.

 

이제 전기를 만들었으니 전기를 소모하는 무언가도 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중 하나인 투입기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의 화력 투입기는 석탄을 연료로 사용해서 사용하기가 굉장히 번거로웠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만들어볼 투입기는 주변에 전신주만 설치하면 되서 굉장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투입기는 화력 투입기와 동일하게 '│' 표시된 곳에서 아이템을 집은 후 '◀' 표시된 곳으로 아이템을 옮깁니다.

전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가동 시 15.1kW, 대기 전력은 400W입니다.

또한 아이템을 옮길 시 초당 302˚ 회전합니다.

 

이런 식으로 화력 투입기가 하던 일을 일반 투입기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투입기가 같은 연료를 투입했을 시 연료 효율이 더 좋고 간편하니 투입기를 애용하도록 합시다.

 

마지막으로 전신주를 클릭하면 현재 전력 네트워크의 충족도 및 생산량, 축전지 충전량을 볼 수 있습니다.

충족도는 '공급되는 전력량 / 요구되는 전력량'으로 표시되며, 반드시 요구되는 전력량보다 공급되는 전력량이 많아야 블랙아웃을 피할 수 있습니다.

생산량은 '현재 발전량 / 최대 가능한 발전량'으로 표시되며, 최대 가능한 발전량 이내의 범위라면 요구되는 전력량이 증가하면 자동으로 현재 발전량도 증가합니다.

축전지 충전량은 추후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 배치 시 전력 저장량을 표시합니다.

 

그럼 이번 글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글을 쓰는 작성자의 손목이 부러지기 전에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모두 즐거운 팩토리오 하세요.

댓글

최근 글

최근 댓글

방문자

어제 명, 오늘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