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5개
플러그인/Skript와(과) 일치하는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드디어 Skript의 효과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효과부는 조건부나 이벤트부가 성립할 경우 발동되는 효과를 지정하는 곳입니다.그러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1. Ban/Unban플레이어나 IP를 밴/언밴합니다. ban "127.0.0.1" (127.0.0.1을 밴합니다)IP-ban the player because "용암테러" ("용암테러" 때문에 IP 밴을 당했습니다) 2. Broadcast서버 채팅창에 공지를 띄웁니다. broadcast "%player%님 서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player%님 서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공지를 띄웁니다) 3. Cancel Event해당 명령을 취소합니다. 4. Change각종 개체나 표현들의 수치를 변화시킵니..
이번에는 Skript 구문 중 상태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상태부는 이벤트부와 비슷하게 발동 조건을 지정하는 구문입니다.그럼 상태부에 무엇이 있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1. Can Build플레이어가 특정 지역에 블록을 설치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2. Can Hold플레이어나 상자 등의 블록이 해당 아이템을 가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block can hold 200 cobblestone (블록에 조약돌 200개를 넣을 수 있는지)player has enough space for 64 dirt (플레이어가 흙 64개를 가질 수 있는지) 3. Chance무작위 확률로 조건을 발동시킵니다. chance of 50% (50%의 확률로) 4. Comparison두 가지 대상을 비교할 때..
저번 시간에 이어서 이번에도 Skript 구문 중 이벤트부에 사용되는 것들을 살펴보도록 할게요.자, 그럼 시작하니 어서 암기하세요. 51. On Piston Retract피스톤이 다시 수축할 때 발동됩니다. 52. On Place플레이어가 블록을 설치하면 발동됩니다. on place of a chest or furnace (상자나 화로를 놓을 경우) 53. On Portal플레이어가 네더 포탈이나 엔더 포탈을 사용할 경우 발동됩니다. 54. On Portal Create포탈이 생성될 경우 발동됩니다. 55. On Portal Enter플레이어가 포탈에 들어갈 경우 발동합니다.좀 더 정확하게는 플레이어가 포탈에 닿아서 화면이 울렁거리기 시작할 때를 의미합니다. 56. On Pressure Plate / T..
오늘은 Skript의 구문 중 이벤트부를 알아보도록 해요.이벤트부는 '특정 사건이나 이벤트를 만족할 때'를 의미하며, 거의 대부분의 문장 중 도입부이자 조건부인 셈이죠.그러면 어떠한 구문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1. At [Time]인게임의 특정 시간일 때 발동됩니다. at 12:00 (12시일 때)at 6am in "world" ("월드" 내의 시간이 오전 6시일 때) 2. On Bed Enter플레이어가 침대에 누웠을 때 발동됩니다. on player enter bed (플레이어가 침대에 누웠을 때) 3. On Bed Leave플레이어가 침대에서 나왔을 때 발동됩니다. on player leave bed (플레이어가 침대에 나왔을 때) 4. On Block Damage플레이어가 블록을 부수고 있울 때 ..
스크립트를 스위스어로 표현하면 Skript이라고 하네요.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 중 하나로, 무려 플러그인으로 플러그인을 제작하는 신박한 플러그인 중 하나죠.또한 사용하는 언어가 영문법과 비슷해서 영어만 할 줄 안다면 쉽게 써먹을 수 있습니다.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겠다면 하나만 예를 들어 살펴볼까요?. on join:message "Welcome on our awesome server!"broadcast "%player% just joined the server! 그럼 이걸 번역하면 어떻게 되냐고요? 접속시:메시지 "으썸한 서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방송 "%플레이어%님이 방금 서버에 접속하였습니다!" 물론 실제 서버에 적용해도 이런 식으로 작동합니다.이런 식으로 영어를 작문하듯 작성하니 사용법도 다른..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