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mdraft 2에도 Terrain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좌측에 목록이 있습니다.

그런데 마름모꼴 지형만 있는 것이 아닌 사각형으로도 배치할 수 있으며, 특정 타일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합시다.
1. Isometrical

먼저 기본적인 마름모꼴
기존의 StarEdit에서도 볼 수 있는 모양의 지형입니다.

그런데 기존 에디터와는 다르게 설정이 더 있네요.
한번 살펴봅시다.

첫번째로 숫자가 적혀있는 칸은 한번에 수정하는 마름모 크기를 지정합니다.
숫자가 클수록 한번에 더 넓은 범위의 지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Mirror라고 적힌 체크박스가 있는데 체크시 대칭 모드로 지형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체크박스는 X축 기준 대칭(좌우 대칭)이며,
두번째 체크박스는 Y축 기준 대칭(상하 대칭)이며,
세번째 체크박스는 원점 기준 대칭입니다.

그런데 StarEdit에 있는 브러쉬 팔레트는 Scmdraft 2에서는 못찾으시겠다고요?
Windows - Terrain Palette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지형 팔레트가 나옵니다.
사용법은 StarEdit과 동일합니다.
2. Rectangular

Rectangular로 선택시 지형이 사각형으로 나옵니다.
유즈맵 세팅을 할 때 흔히 볼 수 있는 지형이죠.
3. Subtitle

해당 지형에 대한 세부 타일을 볼 수 있습니다.
Ctrl을 누른 상태로 해당 지형을 클릭하면 그 지형과 비슷한 지형을 자동으로 찾아줍니다.
또한 그 지형을 선택한 상태로 지형을 배치할 경우 그 지형으로만 타일을 깝니다.
4. Tileset Indexed

해당 타일셋에 대한 모든 지형 타일 리스트입니다.
또한 Doodad의 지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5. Copy/Cut/Paste

지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지형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할 경우 지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Ctrl을 누른 상태로 드래그할 경우 사각형이 아닌 자유롭게 지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Shift를 누르면 다중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장식물(Doodads)을 살펴봅시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리스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의 에디터하고는 다르게 올바르지 않은 위치에도 해당 장식물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단, Allow illegal Placement에 체크를 하셔야 사라지지 않고 유지됩니다.

마찬가지로 장식물 팔레트도 있습니다.
Windows - Doodad Palette을 눌러줍시다.

그러면 좀 더 보기쉽게 장식물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 에디터에서는 찾을 수 없는 Sprites라는 것이 있습니다.
Sprites는 Doodads와 비슷하지만 Unit Sprites를 제외하고 지형에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다만 이상한 Sprites를 배치할 경우 플레이시 크래시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마찬가지로 Sprites는 좌측의 목록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각종 Sprites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Sprites는 유닛 이동에 아무런 간섭이 없으며, Sprites 뒤로 유닛이 숨을 수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