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mdraft 2를 실행시키면 기존과는 다른 화면이 나옵니다.
정상적인 스타크래프트 경로에 있다면 그냥 OK를 누르면 실행되지만 보통은 오류를 내뿜으면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Edit를 눌러줍시다.

그러면 뭔가 복잡한 화면이 뜹니다.
먼저 실행이 되게 하려면 stardat.mpq, broodat.mpq, patch_rt.mpq의 경로를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그러니 먼저 기전의 Data MPQs에 있는 경로를 Remove를 눌러 제거해 주시고 Additional MPQ File을 눌러서 MPQ 파일을 불러와 줍시다.
한꺼번에 불러올 수 없으니 하나 선택하고 Add를 눌러주시기를 반복해서 3개의 MPQ 파일을 불러오셔야 합니다.

성공적으로 실행되었으면 이러한 창이 뜰 겁니다.
그런데 맵은 어디 있냐고요?
예, 지금부터 맵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File - New를 눌러줍시다.
아니면 메뉴창에 있는 종이 모양 아이콘을 누르셔도 됩니다.

기본 에디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있습니다.
먼저 맵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사이즈가 아닌 자유롭게 기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의 64, 96, 128, 192, 256 외의 숫자를 넣을 경우 실행시 크래시의 우려가 있습니다.
그리고 타일에 Null Terrain이 추가되어 있으며, 이 타일로 맵 생성시 검은색 타일로 뒤덮인 맵이 생성됩니다.

마찬가지로 맵 기본 정보를 입력해 보도록 할까요?
Scenario - Map Description에 들어가 줍시다.

마찬가지로 맵 제목과 맵 설명, 플레이어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Map Title에 맵 제목을 적을 수 있고, Map Description에 맵 설명을 적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맵 설명 적는 칸 아래에 Map Tileset(맵 타일셋)과 맵 가로, 세로 길이를 적고 Apply를 누르면 재지정할수 있습니다.
참고로 타일셋을 변경할 경우 맵 곳곳이 깨질 염려가 있으니 누르기 전에 백업을 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밑의 플레이어 설정까지 적으면 길어질 것 같으므로 나중에 따로 설명할게요.
또한 특정 문자를 앞에 적으면 글씨에 색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적용 방법은 글씨 앞에 적으면 그 뒤의 글씨들은 해당 문자의 색으로 나오게 되는 형식입니다.
문자 | 16진수 | 색 |
특수문자가 제대로 저장되지 않는 관계로 여기를 참조하세요. | 01 | 기본값 |
02 | 옅은 파랑색 |
03 | 녹색 |
04 | 연두색 |
05 | 회색 |
06 | 흰색 |
07 | 빨강색 |
0B | 투명 |
0D | 옅은 파랑색 |
12 | 우측 정렬 |
13 | 중앙 정렬 |
14 | 투명 |
1A | 옅은 파랑색 |
그 외에도 더 있지만 대부분 작동하지 않거나 검은색으로 나와서 나머지는 생략할게요.
단, 회색을 넣을 경우 회색 문자를 넣은 뒤의 글씨는 전부 회색으로 나오게 되니 주의하세요.
댓글